별빛의 낙하지 :: 별빛의 낙하지

랜디 포시의 마지막 강의

카테고리 없음 2012. 5. 22. 05:17 Posted by byulbit

불평하는 것은 전략이 될 수 없다.  우리 모두 한정된 시간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우리가 불평하는 데 쓰는 아주 약간의 시간도 목표를 달성하는 데 아무런 득이 되지 않는다.  - 190p -


그룹 안에서 성공적으로 임무를 완수하는 팁


정중하게 사람들을 대해라.

모든 일의 시작은 자기소개부터다.  연락처를 주고받아라.  사람들의 이름을 정확히 발음을 할 수 있게 하라.


공통점을 찾아라.

상대한테서 공통점을 찾는 일은 대부분 어렵지 않다.  그러면 거기서부터는, 당신이 꺼내놓아야 하는 다른 의견을 말하기가 훨씬 수월해진다.  스포츠는 인종과 빈부 차이의 경계를 넘나든다.  그마저도 없다면 우리 모두에게는 날씨라는 공통 화제가 있다.


최적의 만남 조건을 만들어라.

혹시 배가 고프거나 춥거나 피곤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라.  가능하면 식사시간에 만나라.  음식은 회의의 분위기를 부드럽게 한다.  할리우드에서 '점심을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모두가 이야기하게 해라.

남의 말을 자르지 마라.  그리고 큰 소리로 말하거나 빠르게 말한다고 당신의 아이디어가 더 나아지는 것은 아니다.


문 앞에서 나를 버려라.

아이디어를 나눌 때, 의견 하나하나에 제목을 붙이면서 받아 적어라.  제목은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것이어야 하며 발표자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다.  '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브리지 스토리'로 가야 한다는 말이다.


서로를 칭찬해라.

약간은 무리를 해서라도 좋은 말을 해주어라.  아무리 나쁜 아이디어라 해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좋은 점이 있을 것이다.


대안을 내놓으려면 질문 형식으로 해라.

"나는 B가 아닌 A로 가야한다고 생각해." 가 아닌, "만약 우리가 B가 아니고 A를 한다면 어떨까?" 로 제안하라.  그래야 자신의 선택만을 고집하지 않으면서 자유롭게 토론하도록 할 수 있다.


경험이란, 당신이 원하는 바를 얻지 못했을 때 얻는 것이다. 

그리고 경험은 당신이 가진 것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이다.

- 204 p-



실용주의 사고와 학습

카테고리 없음 2012. 5. 16. 16:48 Posted by byulbit

...그들의 접근법은 구성주의라고 불립니다.  배우기 위해 만드는 것이지, 만들기 위해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196page-


"실제 삶에는 교과과정이 없습니다." - 197page


디버깅은 삶의 일부입니다.  소프트웨어 얘기만이 아닙니다.  법률가는 법을 디버그하고, 기계공은 자동차를 디버그하고 정신과 의사는 우리를 디버그합니다. - 202p -


"시도하고 실패하라. 자신의 인지가 교정해 줄 것이다." 즉, 의식적으로 노력하는 것이 단순한 인식보다 못하다는 것입니다. 사실, 너무 열심히 노력하는 것은 실패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211p-




Windows Program Memory Layout
<전역변수, 정적변수>
<스택>
<힙>
<텍스트(=코드)>

  그리고 그 뒤에 따라나오는 RuntimeCheck 관련된 설명들은 프로그램 실행파일을 만들때,  코드 영역에 추가된것으로 보인다.
  HxD로 정적파일과 비교 분석 결과 텍스트영역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